글
[정보보안] 정보보안이란?_ 개념알고가기
●정보보안이란?
정보의 수집, 가공, 저장, 검색, 송신, 수신 중에 정보의 훼손, 변조, 유출 등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적,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는 것.
<<데이터와 시스템을 악용하는 사람들로부터 보호>>
◆보안 위협(Threats)
-컴퓨터 시스템 내의 정보자원에 대해 원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, 악의적인 의도, 위협요소 등
(1) 정보누출 위협(Disclosure threat)
: 권한이 없는 사용자에게 공개 됨
(2) 무결성 위협(Integrity threat)
: 정보가 불법적으로 변경, 생성, 삭제되는 것
(3) 서비스 거부 위협(Denial of Service)
: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를 지연, 방 해, 중지 시키는 것
(4) 자연에 의한 위협
: 화재, 홍수, 지진, 전력차단 등
(5) 인간에 의한 위협 :
◇ 의도적인 위협: 바이러스, 테러, 저작권 침해
◇ 비의도적인 위협 : 실수, 태만에 의한 것
◆취약성(Vulnerability)
-보안 위협에 원인을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의 약점들
=취약성의 분류=
◆위험(Risk)
-
-위협 주체가 취약성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
-
보안대책 : 취약성을 제거
◆영향(Impact)-위협/취약성/위험과 같은 부가적 요소
◆통제(Control)
-위험을 완화하기 위하여 주어진 위협을 다룰 수 있는 수단
-
물리적 통제 : 물리적 환경을 보호 한다.
- 논리적 통제 : 시스템, 네트워크 등 처리, 전송, 저장 하는 환경을 보호
- 관리적 통제 : 규칙, 법, 정책, 절차 지침 등 문서와 관련된 항목
◆계층방어
각 계층마다 각각의 방어를 수행
◆공격(Attack)
-악의적 의도를 가진 공격자가 시스템 내의 정보를 누출, 변조, 파괴하는 행위.
=공격의 종류=
-
도청(Interception) : 승인 받지 않은 사용자가 데이터, 응용프로그램과 같은 환경에 접근
-
방해(Interruption) : 시스템 등 환경을 일시적이나 영구적으로 사용 불가하게 만드는 것.
-
변조(Modification) : 자산의 부당한 변경
-
위조(Fabrication) : 유사한 시스템과 관련된 행위
◆정보보호의 삼 요소
-
기밀성 : 시스템 자원의 승인된 주체들에게만 접근 허용(데이터가 네트워크의 시스템 장비에 보관→전송→목적지도달 전 과정에 데 이터 원본이 잘 유지 되어야 함.)
<<트래픽 패딩으로 정보보호 가능>> -
무결성 : 시스템 자원의 변경작업이 승인된 주체와 승인된 방법에 의해서만 가능하도록 함.
<<암호화로 정보보호 가능>> -
가용성 : 시스템 자원이 승인된 주체들에 의해 적 시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.
<<서비스 이중체제나 보조수단 설치로 정보보호 가능>>